Surprise Me!

[현장영상] 기준금리 동결...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브리핑 / YTN

2018-10-18 10 Dailymotion

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다시 한 번 동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11개월째 연 1.5%를 유지하는 건데요, <br /> <br />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벌어진 만큼,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가 열리는 다음 달에는 인상이 유력하다는 전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의 브리핑 내용 직접 들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이주열 / 한국은행 총재] <br /> <br />배경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8월 통화정책 방향 결정 회의 이후에 대외여건을 보면 세계 경제는 양호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주요 국별로 살펴보면 먼저 미국은 고용과 소비가 호조를 이어가면서 견실한 성장세를 나타내었고 유로지역은 소비 호재에 힘입어서 그리고 일본은 투자 증가에 힘입어서 완만한 시장 흐름을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신흥국에서는 중국이 6%대중후반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지만 투자 둔화로 성장의 하방 압력이 다소 높아졌고 아세안국가들은 수출 증가에 힘입어서 양호한 성장세를 지속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금융시장을 보면 미 경제 지표 호조와 미 연준의 금리 인상 강화 기대로 10월 들어서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채 금리가 크게 상승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금리가 큰폭 상승한 가운데 미중 무역분쟁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선진국, 신흥국 모두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종합해 보면 국제금융시장에서는 15일 들어 가격 변수의 변동성이 상당폭 확대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실무경제는 설비가 조정받고 있지만 수출이 호조를 보이고 소비도 완만한 증가 흐름을 나타내면서 대체로 잠재성장률 수순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고 앞으로도 이 같은 흐름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것으로 그렇게 예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자 물가는 농산물 물가의 가격이 상승세가 확대되고 전시요금 한시 인하 조치가 종료되면서 9월에는 상승률이 1.9%로 높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식료품과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율은 지난 7월 이후 1.0% 대에 머물러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앞으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1% 대 중후반에서 등락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그런 인플레이션율도 당분간은 1% 초반을 이어가겠지만 점차 상승할 것으로 그렇게 예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설명드렸듯이 국제금융시장이 큰 변동성을 보임에 따라 국내금융시장에서도 주가와 환율, 금리 등 가격 변수가 큰 폭으로 등락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미중 무역분쟁 심화 우려와 주요국 주가 급락의 영향으로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101811233925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